대 테란 전에서는 입구에 심시티를 하는경우가 거의 없고 본진 연결체(넥서스)주위에 보통 건물을 짓습니다.
아지만 대 저그전에서는 초반 저글링이 난입하게 될 경우 발느린 질럿으로는 도저히 저글링을 쫏아낼수가 없게되고 이로인해 피해가 누적되게되어 결과적으로는 게임의 패배로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대 저그전에서는 입구를 좁히는 심시티를 하게 됩니다.
요즘 개인방송 같은 걸 보다보면 잘 하시는분들은 대부분 입구를 좁히시더군요. 저는 베타 초반에 저글링 난입에 골머리를 앓아서 어떻게 심시티로 막아볼까 하고 컴퓨터와 실험하면서 알아낸건데 의외로 모르시는분들이 있느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됐습니다.
방법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알아두실것은 한가지! '건물과 건물을 딱 붙혀지으면 어떤 유닛도 통과가 안된다' 입니다.
사실 무든유닛으로 실험 해본것은 아니지만 일꾼과 저글링,광전사로 해본결과 딱 붙여지으면 세 유닛중 어떤유닛도 통과 못하더군요. 일꾼과 저글링이 지나다닐수 없다면 대부분의 다른유닛도 지나다닐수 없으리라 봅니다.
게임을 하기에 앞서 옵션에서 조정해주실게 있습니다.

옵션 - 게임플레이 에 들어가시면 위의 그림과 같이 건설눈금표시 라는 옵션이있습니다. 이 옵션을 켜두셔야 건물지을때 칸맞춰짓기가 수월해집니다. 아래이미지를 보세요

차이가 확실히 보이시죠? 이 옵션을 키고 게임 하시는것이 원활한 싴시티에 도움이 됩니다^^
자 그럼 간단한 그림으로 건물끼리 딱 붙여지은 것과 한칸 떨어뜨려 지은것을 보도록 하죠.

그림판에서 편집할거라 조금 조잡합니다만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없으니 패스 합니다 -_-;
1번 그림은 수정탑(파일런)과 관문(게이트)사이가 한칸 떨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저렇게 짓게되면 그림에 설명처럼 수정탑과 관문사이로는 유닛한기가 지나다닐수 있게 됩니다.
2번 그림은 수정탑과 관문을 딱 붙여지은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수정탑과 건물사이로는 지나다닐수 없고 관문 왼쪽으로 한칸이 뚫려있으므로 그쪽으로 지나다니게 되죠.

위의 방법을 기준으로 심시티한 예시입니다. 광전사가 서있는곳을 뺴고는 다른곳으로는 유닛이 지나다닐수있는곳이 없습니다. 꼭 위의 그림처럼 지을 필요는 없습니다. 요점은 '건물과 건물을 딱 붙여지으면 어떠한 유닛도 통과가 안된다' 이니 이것만 기억하시고 심시티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러한 심시티 방법이 어느정도 익숙해지시면 앞마당에 제련소(포지)이후 더블넥하실때도 응용하실수 있습니다.
물론 제련소 이후 앞마당은 바퀴와 광자포의 사거리를 잘 이용해야하는등의 또다른 심시티요소가 있지만 이번은 심시티의 기본이니 그런부분은 패스~~~!
trackback from: Dimension의 생각
답글삭제스타2 프로토스 입구심시티 오늘은 프로토스의 입구심시티에 대하 써봅니다. 대 테란 전에서는 입구에 심시티를 하는경우가 거의 없고 본진 연결체(넥서스)주위에 보통 건물을 짓습니다. 아지만 대 저그전에서는 초반 저글링이 난입하게 될 경우 발느린 질럿으로는 도저히 저글링..
trackback from: 스타크래프트2, 7월27일 출시 결정..가격 6만9천원
답글삭제스타크래프트 2의 공식 출시 일정이 오는 7월 27일로 마침내 확정됐다.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이하 블리자드)는 ‘스타크래프트Ⅱ: 자유의 날개’(이하 스타크래프트2)를 오는 7월27일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 호주 등지에서 출시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스타크래프트2는 지난 1998년 블리자드가 출시한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으로, 화려한 3차원(3D) 그래픽과 새로운 유닛이 등장한다. 전작의 테란·프로토스·저그 세종족의 전쟁이라는 기본 골격은 유..